[Gold II] 면접보는 승범이네 - 17835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25784 KB, 시간: 1312 ms

분류

그래프 이론, 최단 경로, 데이크스트라

제출 일자

2025년 10월 30일 16:02:00

문제 설명

마포구에는 모든 대학생이 입사를 희망하는 굴지의 대기업 ㈜승범이네 본사가 자리를 잡고 있다. 승범이는 ㈜승범이네의 사장인데, 일을 못 하는 직원들에게 화가 난 나머지 전 직원을 해고하고 신입사원을 뽑으려 한다. 1차 서류전형이 끝난 뒤 합격자들은 면접을 준비하게 되었다.

면접자들은 서로 다른 N개의 도시에 거주한다. 승범이는 면접자들의 편의를 위해 거주 중인 N개 도시 중 K개의 도시에 면접장을 배치했다. 도시끼리는 단방향 도로로 연결되며,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어떤 두 도시 사이에는 도로가 없을 수도, 여러 개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도시에서든 적어도 하나의 면접장까지 갈 수 있는 경로가 항상 존재한다.

모든 면접자는 본인의 도시에서 출발하여 가장 가까운 면접장으로 찾아갈 예정이다. 즉, 아래에서 언급되는 '면접장까지의 거리'란 그 도시에서 도달 가능한 가장 가까운 면접장까지의 최단 거리를 뜻한다.

속초 출신 승범이는 지방의 서러움을 알기에 각 도시에서 면접장까지의 거리 중, 그 거리가 가장 먼 도시에서 오는 면접자에게 교통비를 주려고 한다.

승범이를 위해 면접장까지의 거리가 가장 먼 도시와 그 거리를 구해보도록 하자.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수 N(2 ≤ N ≤ 100,000), 도로의 수 M(1 ≤ M ≤ 500,000), 면접장의 수 K(1 ≤ K N)가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 도시는 1번부터 N번까지의 고유한 번호가 매겨진다.

다음 M개의 줄에 걸쳐 한 줄마다 도시의 번호 U, V(UV)와 도로의 길이 C(1 ≤ C ≤ 100,000)가 공백을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는 도시 U에서 V로 갈 수 있는 도로가 존재하고, 그 거리가 C라는 뜻이다.

마지막 줄에 면접장이 배치된 도시의 번호 K개가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면접장까지 거리가 가장 먼 도시의 번호를 출력한다. 만약 그런 도시가 여러 곳이면 가장 작은 번호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 해당 도시에서 면접장까지의 거리를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