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미래전략 2024 (1)

도구의 진화로 열린 새로운 시대

인간은 도구의 동물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이며,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게 한 원동력이다. 새로운 도구를 발명하고 사용법을 익히는 것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도구의 역사

도구는 또한 그 문명을 정의하는데,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구는 인류의 발전과 함께 단점을 보완하며 진화하고, 끝내 더 우월한 도구가 나오면 폐기된다. 인류는 생존을 위해 현대 기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AI, 특히 생성형 AI에 대한 이해와 습득이라 할 수 있다.

철기 시대에 청동기를 고집했던 문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선 시대에 쇄국 정책으로 과학 기술을 소외시키고 성리학만 추구한 흥선대원군의 예시를 통해, 새로운 도구에 대한 태도가 인간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인간은 끊임없이 학습해야 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도구의 효용과 위험

반면, 도구는 인간이 제대로 사용하고 통제할 때 효용과 의미를 가진다. 일부 SF 영화처럼 AI가 자의식을 가지고 인류를 위협하면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 결과는 AI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산업화와 과학 기술 개발로 발생한 환경 오염, 전쟁 무기 등에서 나타났다. AI에 대한 윤리적 고민을 토대로 AI의 부정적 사용을 방지해야 한다.

AI가 만들어가는 새로운 시대와 문화 자본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자본 개념을 경제뿐만 아니라 문화, 사회 자본 등으로 확장하였다.

문화 자본은 체화된(경험, 학습), 객체화된(소유품), 제도화된(학위, 자격증)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체화된 문화 자본으로, 도구와 미디어를 활용하고 다루는 능력을 말한다.

AI 시대에는 AI를 활용하는 것이 업무를 빠르게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쟁력 향상과 현대 사회에서의 생존 필수 능력이다.

review

전역 후 ChatGPT를 처음 접했을 때, 최신 기술을 선도하는 엔지니어가 이런 선진 기술을 사용해보지 않았다는 충격을 받았다.

ChatGPT가 부정행위에 이용된다는 이야기만 듣고 배척하는 태도를 지닌 내 자신이 참으로 안타까웠다.

AI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ChatGPT를 강력히 추천하며, AI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철기 시대에서 청동기를 고집하는 것과 같거나 더 나쁠 수 있다.

나 역시 Generative AI 기술 중 Prompt Engineering에 대해 탐구해볼 결심을 했다. PE는 불을 쓸 줄 아는 것처럼, 당연히 연마해야 할 필수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Leave a comment